우리 아이들이 바람직하지 않은 말이나 행동을 했을 때 그것을 바로 잡아 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
말로 알아듣기 쉽게 잘 이야기해 주고 부모가 행동으로 보여주면 고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.
엄마가 욕을 하니 아이도 따라 한다.
둘째가 4살 때쯤의 일이었어요.
어린이집 선생님한테서 전화가 왔습니다.
"어머니 요새 **이가 '아이 C'라는 말을 자주 해요"라고 말이지요.
욕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린아이에게는 부적절한 말이지요.
저는 깜짝 놀랐어요.
아이가 집에 돌아오자 그런 말은 좋지 않다며 이야기해 주었지요.
그러고 나서 며칠이 지난 것 같은데 저도 모르게 '아이 C'라는 말을 자주 내뱉고 있는 걸 발견했지 뭐예요?
그걸 발견하고 아차 싶었고 머리를 얻어맞은 듯 충격을 받았어요.
제가 두 아이를 돌보다 보니 힘들 때마다 그 소릴 했었던 거지요.
아이가 물 쏟으면 내뱉고, 아무렇게나 벗어던진 신발을 찾아 정리하면서 내뱉고...
저는 그 뒤로는 그 말을 일절 쓰지 않았어요.
그랬더니 아이도 너무나 자연스럽게 그 말을 안 쓰더라고요.
엄마의 말 습관이 얼마나 중요한지 처음으로 느꼈었답니다.
엄마가 글을 쓰니 아이도 뭔가를 쓴다.
이번엔 큰아이 이야기입니다.
제가 블로그 한다고 요새 컴퓨터 앞에 앉아 자판을 두드리고 있는 모습이 자주 보였겠지요?
어느 날 방에서 뭔가를 하다 말고 큰애가 달려오더니 "엄마, 나 소설 쓸래" 하면서 주인공 이름은 뭐고 어떤 캐릭터고 제목은 '물의 아이'라면서 신이 나서 얘기를 하는 겁니다.
저는 그거 좋은 생각이라고 하며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었어요.
4학년인데 뭔가 쓰는 거를 좋아한다면 쓸 수 있는 나이일 텐데 저는 아직까지 일기 써라 뭐 써라 등등은 아직은 얘기하지 않았었어서 살짝 걱정은 하고 있던 터였지요. 그런데 알아서 뭔가를 쓰겠다 하니 너무 반갑더라고요. 블로그 하길 잘했다는 생각도 들었지요.
엄마가 책을 좋아하니 아이도 좋아한다.
애들한테 책 읽어라 말만 하지 말고 부모가 읽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하잖아요.
그 말이 진짜 맞는 것 같아요.
저도 책을 좋아하고 책에서 읽었던 내용을 아이들한테 이야기해 줄 때도 종종 있어요.
"엄마가 이걸 어떻게 알았게?"라고 물어보면서요.
그건 바로 책을 읽었기 때문에 알 수 있었다고 얘기해 줍니다.
살아가면서 특히 육아하면서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 상황들이 많잖아요. 그럴 때 책에서 인상 깊게 봤던 내용들이 불쑥 튀어나와서 문제를 해결하기도 하는데 그런 이야기들을 아이들과 아주 자연스럽게 이야기합니다.
예를 들면 습관 들이기 같은 것이 있지요.
큰아이는 키가 좀 작은 편이어서 매일 나가서 운동을 하게끔 하고 있어요.
그런데 툭하면 하기 싫다고 합니다.
오늘은 너무 추워서. 오늘은 쉬고 싶어서. 오늘은 놀고 싶은 게 있어서 등등요.
그러면 저는 이렇게 말합니다. "습관들이기는 당연히 쉽지 않지. 엄마 봐. 엄마도 원래는 매일 책 읽는 거 엄청 싫어했거든. 근데 이걸 매일 딱 한 페이지만 읽어보자 하고 계속했더니 지금은 너무 쉬워.
습관 될 때까지는 힘들지만 한 번 되고 나면 껌이거든." 하고 말해줍니다.
그러면서 이건 바로 이 책에서 ***라는 작가가 그렇게 말했다고 얘기해 줍니다.
그러면 아이는 하기 싫은 마음은 어쩔 수 없어도 좀 더 힘을 낼 수가 있어요.
아주 사소한 이야기 들이지만 정말 아이들은 엄마를 그대로 따라 한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었어요.
아이도 크고 있지만 엄마도 아이를 위해 커갈 수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듭니다.
'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깨봉수학을 아시나요? (0) | 2024.03.15 |
---|---|
충주시 금가면 아이랑 갈 만한 곳, "초록세상 들꽃마을" (0) | 2024.03.15 |
시골 아이들 놀이, 오늘은 뭐하고 노나? (0) | 2024.03.05 |
"엄마, 나 핸드폰 5달 금지 시켜 주세요" (0) | 2024.03.03 |
우리 아이들 왜 공부해야 하나요? (0) | 2024.02.07 |